코드팩토리의 플러터 프로그래밍 2판 책을 참고하여 공부용으로 작성한 게시글입니다.
📌 레코드
값을 묶어서 저장하는 방식 (Python의 튜플 같은 타입)
📌 포지셔널 파라미터 방식의 레코드
(타입, 타입, ...) 레코드변수명 = (값, 값, ...);
값을 입력하는 순서대로 타입을 작성해준다.
레코드 특정 순서의 레코드값을 가져오고싶다면
레코드변수명.$순서번호
(String, int) person = ('민', 20);
print(minjui); => ('민', 20)
(String, int, bool) person = ('민', 20, true);
print(person); => ('민', 20, true)
print(person.$1); => 민
📌 네임드 파라미터 방식의 레코드
({타입 변수명, 타입 변수명, ...}) 레코드변수명 = (변수명:값, 변수명: 값, ...);
중괄호로 네임드파라미터를 지정한다.
({String name, int age}) person = (name: '민', age:20);
#코드팩토리의플러터프로그래밍2판 #공부용
'◼️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rt 3.0] switch (표현식, 패턴매칭, 엄격한 검사, 보호구문) (0) | 2025.01.25 |
---|---|
[Dart 3.0] 구조 분해 (0) | 2025.01.25 |
[Flutter Dart] Stream (0) | 2025.01.25 |
[Flutter Dart] async 와 await (0) | 2025.01.25 |
[Flutter Dart] 비동기 프로그래밍 - Future (0) | 2025.0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