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드팩토리의 플러터 프로그래밍 2판 책을 참고하여 공부용으로 작성한 게시글입니다.
📌 함수
포지셔널 파라미터 : 순서가 고정된 매개변수
- 입력된 순서대로 매개변수에 값이 지정된다.
- default 값 지정: [ ] 기호 사용
네임드 파라미터 : 이름이 있는 매개변수
- 호출시 이름을 이용해 값을 입력한다.
- 키와 값 형태로 매개변수를 입력하면 되므로 입력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.
- {} : 네임드 파라미터 지정 영역
- required 키워드를 사용 : 호출시 필수로 지정해야 하는 값
- default 값 지정시 required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
* 포지셔널과 네임드를 섞어쓰려면 포지셔널이 항상 앞에 와야한다.
//포지셔널
int add1(int a, int b){
}
arr1(1,2);
//포지셔널, 포지셔널 default 값 설정
int add2(int a, [int b = 2]){
}
add2(1);
//네임드
int add3({required int a, required int b}){
}
add3(a: 2, b: 3);
//네임드, 네임드 default 값 설정
int add4({required int a, int b = 4}){
}
add4(a:1, b:2);
//포지셔널, 네임드, 네임드 default값 설정
int add5(int a, {required int b, int c=4}){
}
add5(1,b:3);
#코드팩토리의플러터프로그래밍2판 #공부용
'◼️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lutter Dart] 함수 형태 정의 typedef (0) | 2025.01.25 |
---|---|
[Flutter Dart] 일회성 함수 (익명함수, 람다함수) (0) | 2025.01.25 |
[Flutter Dart] if, switch, for, while (0) | 2025.01.25 |
[Flutter Dart] is 연산자 타입 비교 (0) | 2025.01.25 |
[Flutter Dart] 널 안정성 (0) | 2025.01.25 |